초등학생·청소년 자녀를 위한 실전 가이드
자녀가 게임에 빠져 걱정이신가요?
하지만 무조건적인 게임 금지는 오히려 역효과를 부를 수 있어요.
자기 조절력만 잘 길러준다면, 게임은 '문제'가 아니라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1️⃣ 왜 자기 조절 능력이 중요할까요?
아이의 게임 집착은 단순한 흥미 문제가 아닙니다.
실은 자기조절력 부족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자기조절력이 부족한 아이의 특징
- 숙제보다 게임을 먼저 하려는 습관
- “5분만 더!” 하며 시간 약속을 지키지 않음
- 감정이 폭발하고 나서 후회
- 집중력 부족, 산만한 태도
✅ 자기조절력은 아이 성장의 ‘기초 체력’
- 초등 시기: 생활 습관과 학습 태도 형성
- 중·고등 시기: 학업 스트레스 조절, 성적 유지
- 성인기: 목표 설정, 시간 관리, 감정 통제에 큰 영향
📌 자기조절력은 단기 성적보다 더 중요한 평생 능력입니다.
🔍 자기조절력, 이렇게 길러주세요
- 작은 선택권 주기
“지금 숙제할까? 10분 뒤에 할까?” → 선택 후 책임지는 연습이 필요해요. - 시간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타이머, 모래시계, Forest 앱 등을 활용해 시간 감각 훈련 - 감정에 이름 붙이기
“지금 화났구나?”, “짜증 났지?” → 감정을 인식하면 통제하기 쉬워집니다. - 하루 루틴표 만들기
숙제 → 게임 → 간식처럼 일과를 구조화해 자기 주도력 강화 - 피드백 중심 대화 나누기
“오늘은 게임 멈추는 걸 스스로 잘했네.”
“어제보다 더 나아졌구나.” → 비난보다 피드백 중심의 대화가 효과적입니다.
📌 자기조절력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반복 훈련으로 길러지는 습관입니다.
2️⃣ 게임, 정말 무조건 나쁠까요?
많은 부모님이 이렇게 고민합니다.
“우리 아이, 게임을 그냥 끊어야 할까?”
하지만 게임 자체가 나쁜 것이 아닙니다.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훈련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 게임이 주는 교육적 효과
- 공간지각력과 문제해결력
- 전략적 사고력과 협업 능력
- 시간 조절, 감정 통제, 목표 집중력 등 자기 조절 훈련 효과
✅ 실전 활용 팁
- “30분 안에 미션 클리어 후 종료하기”
- “게임 후 리뷰 노트 작성하기”
- “게임 전 체크리스트 완료하기”
📌 목표 중심의 게임 사용이 핵심입니다.
3️⃣ 자기조절력을 키워주는 추천 게임 BEST 5
게임 | 기대효과 |
마인크래프트 | 시간 계획, 창의력, 협업 능력 |
저스트댄스 | 감정 해소, 스트레스 완화 |
코딩 게임 (code.org 등) | 논리 사고, 문제 해결, 집중력 향상 |
보드게임 (루미큐브, 우봉고 등) | 규칙 준수, 차례 기다리기, 전략적 사고 |
Forest / Habitica | 목표 설정, 시간 관리 습관 형성 |
📌 이 게임들은 단순한 놀이가 아니라, 자기 조절 훈련의 장이 될 수 있습니다.
4️⃣ 부모가 도와야 할 자기 조절 훈련 3포인트
✅ 아이가 스스로 게임 시간을 정하고 지키도록 도와주세요
- “30분 게임 후 10분 휴식”처럼 루틴 만들기
- 타이머, 화이트보드, 알림 앱으로 시각적 관리
- 스스로 멈추는 경험이 자기조절력 향상의 핵심입니다.
✅ 게임은 ‘보상’이 아닌 ‘책임의 결과물’ 임을 알려주세요
- 게임 전 할 일 체크리스트 작성
- 예: 숙제 완료 → 게임 30분 / 독서 20분 → 10분 추가
- 책임 → 성취 → 보상의 흐름 설계
✅ 감정 상태에 맞는 게임 선택을 유도해주세요
- 신체 활동 게임: 화났을 때 감정 해소
- 차분한 게임: 지쳤을 때 정서 안정
- 창의 활동 게임: 표현 어려운 감정 해소
- “지금 기분엔 어떤 게임이 좋을까?” 같이 감정-활동 연결을 유도해 주세요.
📌 자기 조절 훈련은 ‘단속’이 아닌 ‘설계’입니다.
5️⃣ 실전! 게임 사용 규칙 이렇게 정하세요
✅ 아이와 함께 게임 이용 계약서를 만들어보세요
- 하루 최대 게임 시간 설정
- 게임 전 완료해야 할 일 정하기
- 규칙 어겼을 때의 대처 방안 합의
- 부모가 정하는 것이 아닌, 함께 만든 약속이라는 인식이 중요합니다.
✅ 하루 시간표에 게임 시간을 구조화해 주세요
- 하루 2회로 나누어 몰입도를 낮춤
- 화이트보드, 자석 시간표, Forest 앱 등 도구 활용
예시 시간표 (초등 고학년 기준)
- 16:00~16:30 숙제
- 16:30~17:00 게임
- 17:00~17:30 독서 또는 휴식
- 18:00 이후 가족 활동
📌 규칙을 지켰을 때는 작은 보상과 칭찬도 함께해 주세요.
예: 일주일 성공 시 10분 추가, 가족 영화 타임 등
6️⃣ 자주 묻는 질문 (FAQ)
Q. 우리 아이, 게임 중독 같아요. 끊어야 하나요?
➡️ 강제 금지보다 10분 단위로 줄이며 성공 경험을 만들어주세요.
Q. 스마트폰을 뺏으면 아이가 더 화를 내요.
➡️ 공예, 보드게임, 산책 등 대체 활동을 먼저 제안해 주세요.
Q. 형제끼리 게임 때문에 자주 싸워요.
➡️ 공평한 시간표, ‘돌림판’이나 ‘교대 타이머’로 순서를 조율해 주세요.
✅ 게임 이용 계약서
자녀와 함께 정하는 게임 사용 약속문
항목 | 내용 |
이름 | (자녀 이름 작성) |
날짜 | 2024년 ○월 ○일 |
게임 가능 시간 | 평일: 최대 ○○분 / 주말: 최대 ○○분 |
게임 전 해야 할 일 | □ 숙제 완료□ 책 20분 읽기□ 방 정리 |
게임 종료 기준 | □ 타이머 사용□ 미션 완료 후 자동 종료 |
규칙을 어겼을 경우 | □ 하루 게임 시간 10분 차감□ 다음 날 게임 불가 |
부모 확인 | (서명) ●●● |
자녀 확인 | (서명) ●●● |
📌 이 계약서는 서로의 신뢰를 바탕으로 작성하며, 지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 자기 조절 체크리스트
오늘 나는 얼마나 잘 조절했을까? (스스로 점검하기)
체크 항목 | 잘했어요(✔) | 더 노력할게요(△) |
숙제를 마친 뒤 게임을 했어요 | ☐ | ☐ |
게임 시간을 약속대로 지켰어요 | ☐ | ☐ |
게임 중에 짜증 내지 않았어요 | ☐ | ☐ |
감정이 힘들 때, 말로 표현했어요 | ☐ | ☐ |
시간을 스스로 멈추고 종료했어요 | ☐ | ☐ |
📌 하루에 한 번 체크하며 내 마음을 돌아보는 습관을 길러보세요!
✅ 훈련 게임카드 PDF
감정 상태에 따라 추천 게임을 골라요!
감정 상태 | 추천 | 게임효과 |
화가 날 때 | 저스트댄스, 링피트 어드벤처 | 신체 활동으로 감정 발산 |
지칠 때 | 모여봐요 동물의 숲, Stardew Valley | 정서 안정, 여유 회복 |
집중하고 싶을 때 | Lightbot, code.org | 논리 사고, 집중력 강화 |
협동하고 싶을 때 | 루미큐브, 부루마불 | 순서 지키기, 전략 훈련 |
창의력을 키우고 싶을 때 | 마인크래프트 | 자유로운 표현, 창의 발산 |
📌 “지금 내 기분에는 어떤 게임이 좋을까?” 생각하며 선택해 보세요.
✅ 마무리하며
게임은 무조건 해롭거나 끊어야 할 대상이 아닙니다.
자기 조절력, 시간 관리, 감정 통제를 훈련할 수 있는
귀중한 교육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핵심은 아이를 혼자 두는 것이 아니라,
부모가 함께 규칙을 만들고 실천을 설계하는 것입니다.
오늘부터 작은 약속 하나로 시작해 보세요.
그 약속이 아이의 자기 조절력 성장을 이끄는 첫걸음이 될 거예요.